-
#4 인버스, 금융위기 주가폭락 과연 올까?부자가 되어가는 과정 2020. 5. 2. 07:45
1. 위기 때마다 반복되는 CYCLE
주식시장에서, 그리고 심지어 주식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대부분 아는 사실이 몇가지 있습니다.
* 위기는 10년마다 온다! (위기는 기회다)
* 공포에 사고, 낙관에 팔아라!
등등이 그런 말 들중에 하나입니다.
이렇게 볼때, 지금까지 굵직한 위기들을 한번 정리 및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첫 번쨰 위기 : IMF(1997년), IMF로 외환위기를 맞이하였을 때, 금모으기 운동 등 굉장히 국가적으로 많이 힘들었다고 하죠, 저는 당시 어렸을 때라 잘은 모르지만, 영화 " 국가부도의 날" 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나마 힘든상황이었음을 느끼곤 합니다.
코스피 지수의 변화를 살펴 보겠습니다. 1138 (전고점) → 280 (최저점)
지수에 관련된 것은 다른 위기들도 같이 보고 최종적으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히 보자면 Point 로는 858 Point, 그리고 백분율로는 75%의 지수가 빠진상황인데요, 실로 엄청난 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두 번쨰 위기 : 2008년 리먼브라더스 라고도 부르는 미국발 금융위기! 이 떄 당시 미국에서 정말 충격적인 일이 일어났죠.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하면서 줄줄이 엮인 금융권들이 파산하였고, 미국이 이렇게 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도 영향이 적지 않았습니다. 기축통화, 즉 대장돈이 달라이기 때문이죠.
그럼 이때의 코스피 지수의 변화를 살펴 보겠습니다. 2064 (전고점) →938 (최저점)
간단히 보자면 Point 로는 1126 Point, 그리고 백분율로는 약 50%의 지수가 빠진상황입니다.
3) 세 번쨰 위기 : 2020년 코로나19 질병으로 인한 위기 발생!,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안 이기도 하죠. 지금은 반등을 하고 있는 상황인데, 이게 어떻게 진행이 될지 아무도 모르겠죠?
그럼 이때의 코스피 지수의 변화를 살펴 보겠습니다. 2607 (전고점) → 1439(최저점)
간단히 보자면 Point 로는 1168 Point, 그리고 백분율로는 약 45%의 지수가 빠진상황입니다.
이러한 위기가 오게되면, 사실 당시 상황은 굉장히 불안하고, 여러가지 썰들도 난무하게 되는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위기 후에는 전고점을 뚫고 계속 지속적으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의 심리 속에는 10년단위로 싸이클(위기)이 돌고 있고, 전고점 대비 약 50%정도가 빠진 후에 올라가는구나 라는 학습 효과가 생겼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의 심리가 주식시장의 주가를 좌우하기도 합니다. 그럼 저의 시나리오와 앞으로의 예측상황은 어떤지 말씀드리겠습니다.
[나의 시나리오 & 예측]----------------------------------------------------
지금 코로나19라는 전염병으로 인해 증시가 전고점대비 많이 빠졋다가 올라온 상황입니다. 물론 저는 최초에 1300이하로 까지 내려갈꺼라고 생각을 했지만, 그렇게 되지는 않았고 지금 1439 최저점을 찍고 반등하여 현재는 1947Point 까지 올라왔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연일 10명미만이라는 수치를 기록하면서 연일 안정세를 찾고있고, 미국과 유럽같은 경우에도 아직까지 확진자는 많이 나오고 있지만, 확진자 증가 추세가 꺾이면서 이제 점점 줄어들 것이라는 사람들의 예상이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한가지 아직 주가가 떨어질 위기가 남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바로! 실물경제 입니다.!! 지금 떨어진 수치 즉 45%정도 떨어진 주식시장의 코스피 지수는 사실 코로나로 인한 사람들의 공포지수가 반영된 것입니다.
코로나가 주춤하면서 반등에 성공한것 같아 보이지만, 아직 시장이 정상적으로 회복하였다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아무런 Shock 없이 이대로 쭉 갈수도 있겠죠) 아직 실물경제가 터지지 않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직 저는 소극적으로 주식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요즘에 유가가 또 난리인데,, 현대오일뱅크와 같은 대기업도 1분기에만 무려 5000억가량이 적자라고 합니다. 항공업계는 그야말로 비상사태여서, 직원들의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 휴직, 구조조정에도 들어가고 있는 상황인데요. 자동차 업계, 수출 비율 또한 전년분기 대비 많이 좋지 않고, 자영업자들 또한 사람들의 소비심리가 축소 되니, 많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 거리를 나가보면 "임대"라는 딱지를 붙은 건물이 어렵지 않게 많이 보이는 것도 사실이구요..
그래서 저는 이 여파가 뉴스로 터지기 시작했을 때, 한번더 주식시장에는 쇼크가 오지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시나리오를 짜고 종목을 구성하고있냐면요! 바로 인버스 입니다!
인버스*2 매물을 5만원씩 코스피 지수가 올라갈때마다 사고 있습니다.
저는 이 매물에 대해서 부담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장기적으로 투자할 것이기 때문이에요. 만약 저의 예상이 틀려서 이대로 코스피가 쭉 올라간다고 할지라도! 저는 계속 50Point 단위로 인버스를 사들일것입니다. 그러면 제가 산 금액에 대해 평균 단가가 올라가겠죠?
그리고, 지금까지 코스피를 보았을 때, 우리사회에 위기가 오지않을 리는 전혀 없구요. 지금이 아니더라도 나중에 위기가 시작될 때, 급하게 코스피가 떨어지게되면, 그때 수익을 내면서 팔 생각이에요..
지금은 적은금액으로 시작하지만 5만원 단위가 50만원 500만원 단위의 투자가 된다면 이것은 저의 수익률에 큰 도움이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도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꼭 성공할 수밖에 없는 시나리오를 만들고, 부담없는 선에서 꼭 시도해보세요!
실천이 가장 중요합니다! 경험은 우리를 성장하게 만드니까요 ^^
'부자가 되어가는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이태원 코로나 확산 (주식 시장 대처 자세,코스피, 인버스) (0) 2020.05.08 #5. 신일전자, 선풍기 에어컨 관련 주 (0) 2020.05.06 #3. 유가 폭락! 유가 선물 투자? (ETN, ETF) WTI 텍사스 원유 (0) 2020.04.27 #2. 금값 고공행진~! 금 테크 관련 공부! 나의 계획.(KRX, 골드뱅킹) (0) 2020.04.26 #1. 지금까지 나의 돈 흐름 & 돈에대한 생각. (0) 2020.02.08